분류 전체보기 245

삼성리(三成里) / 3. 국제교류센터복합지구

삼성리(三成里) / 3. 국제교류센터복합지구 국제교류복합지구는 삼성동 코엑스~글로벌 비즈니스센터(GBC)~잠실종합운동장에 이르는 약 199만㎡의 면적을 국제업무, 전시, 컨벤션 등 마이스(MICE) 산업 중심지로 개발하는 대규모 사업이다. 이에 앞서 한국무역협회(韓國貿易協會, Korea International Trade Association)가 1946년 7월 창립하고, 1973년 3월 회현동 한국종합무역센터를 완공했다. 삼성동에 1979년 3월 종합전시시설(KOEX)이 개관하였고, 회현동 한국종합무역센터가 1984년에 착공하여 1988년에 지금의 자리에 무역회관을 완공했다. 1995년에 1천억 달러 달성을 기념하여 네온사인이 장식되었다.[1][2] 같은 해 확충사업을 추진하기 시작하여 2000년 5월..

한강 2022.11.03

가을 선물

22년 10월 22일 종묘 서쪽 담 옆 서순라길이 시작되는 풍경입니다. 종묘관리소에서는 가을 선물을 준비하고 있었습니다. 종묘는 혼자 있어도 좋고, 여럿이 함께 해도 좋습니다. 가을을 물들이고 있습니다. 신협의 주최로 진행된 종묘 문화재지킴이 행사는 종묘 관리소의 협조로 종묘 내에서 문화유산 체험 활동과 문화재지킴이 활동, 종묘 정전 공사 현장 견학 등으로 진행되었습니다.

종묘 2022.11.03

가을 선물

22년 10월 22일 종묘 서쪽 담 옆 서순라길이 시작되는 풍경입니다. 종묘관리소에서는 가을 선물을 준비하고 있었습니다. 종묘는 혼자 있어도 좋고, 여럿이 함께 해도 좋습니다. 가을을 물들이고 있습니다. 신협의 주최로 진행된 종묘 문화재지킴이 행사는 종묘 관리소의 협조로 종묘 내에서 문화유산 체험 활동과 문화재지킴이 활동, 종묘 정전 공사 현장 견학 등으로 진행되었습니다.

종묘 2022.10.25

서래섬

서래섬의 서래은 ‘서린다’의 변화된 것으로 보이며, ‘서린다’ 한자표기는 반(蟠)이며 같은 뜻의 반(盤)으로 표기되었다. 서래섬은 개울이 굽이굽이 서린다 하여 반포섬(盤浦島)이라 했다. 조선 시대에는 비슷한 위치에 반포섬(盤浦島)이 있었다. 동작나루 부근에 위치하던 섬이며, 고지도에서는 기도(碁島)라고도 기록하였다. 바둑돌을 채취하던 곳으로 추정된다. 1960년대까지만 해도 모래로 된 섬이 남아 있었으나, 한강 개발과 함께 사라지게 되었다. 1972년 이수택지개발 계획에 의거해 한강에 제방(堤防)을 쌓았으며 1973년 대한주택공사가 이곳에 대단위 아파트를 건립하면서부터 현재 반포동의 모습이 나타나게 되었다. 서래섬은 반포대교와 동작대교 사이에 자리잡고 있으며 1982년부터 1986년까지 올림픽대로 건설 ..

한강 2022.10.19

합각(合閣)마루 용(龍)은 나무 뒤로 숨다.

오후가 되자 관람객 수가 많아졌다. 향대청(香大廳)이 좁아 보였고 재궁(齋宮)이 꽉 찬 것 같다. 정전 남원(南垣)이 보수공사를 하고 있다. 정전 앞 소나무 가지가 늘어져서 고개를 숙어야 지나갈 수 있다. 22년 8월부터(2022.08.02.~2023.01.28.) 복원된 담장 동쪽 끝에서 이어진 동측 외곽 담장 보수공사가 있다. 전체 해체보수 1~7구간 38.4m이며 발주자는 종묘관리소이다. 관람객 대부분은 복원되었다는 종묘(宗廟) 북신문(北神門)을 통과하여 창경궁(昌慶宮)으로 가고자 했다. 복원된 북쪽 담장의 모습이다. 아직도 북신문(北神門)은 굳게 닫혀있다. 종묘 북신문(北神門)이 복원되고, 종묘 정전, 종묘 정전(正殿) 원(垣), 종묘 동측 외곽 담장을 보수하고 있다. 영녕전(永寧殿) 합각(合閣)..

종묘 2022.09.27

삼성리(三成里) 2. 선정릉(宣靖陵) - 꿈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꿈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선정릉(宣靖陵)은 삼성리(三成里)에 있으며 수도산(修道山)을 배산(背山)하고 탄천(炭川)과 양재천(良才川)이 감싸고 있다. 또 삼성리(三成里) 수도산(修道山)에 토성이 있어 한강을 조망하며 방어하기에 유리하다. 축조 후 200∼300년가량 사용된 것으로 추정된다. 잠실과 뚝섬의 오가는 길목이기도 하다. 이 길목에 선정릉(宣靖陵)의 원찰(願刹)인 봉은사(奉恩寺)가 자리한다. 수도산(修道山)은 지금의 삼성동해맞이 공원으로 추정된다. 해동지도海東地圖』에 그려진 정릉과 봉은사, 18세기 선정릉(宣靖陵)은 선릉(宣陵)과 정릉(靖陵)이다. 솟을 대문이 있는 재실(齋室)이 있다. 재실(齋室) 서쪽에 500년된 은행나무가 있다. 선릉(宣陵)은 동원이강릉(同原異岡陵)으로 정자각(丁字閣)이 있는 ..

한강 2022.09.22

삼성리(三成里) / 1. 봉은사(奉恩寺)

탄천(炭川)은 상류쪽으로 왼쪽에 잠실(蠶室)과 오른쪽에 삼성리(三成里)가 있다. 삼성리(三成里)에 수도산(修道山)이 있고 한성백제(漢城百濟) 때 도성 외곽 방어시설이던 산성이 있었다고 한다. 삼성리는 지금의 삼성동(三成洞)으로 수도산(修道山) 아래에 봉은사(奉恩寺)가 있고 그 아래에 선정릉(宣靖陵)이 있다. 지금은 봉은사 아래에 무역회관과 국제교류센터복합지구가 있어 큰 공사가 진행되고 있다. 1.봉은사(奉恩寺). 2.선정릉(宣靖陵) 3.국제교류센터복합지구 로 구분하였다. 1. 봉은사(奉恩寺) 794년(원성왕 10) 신라시대 연회국사(緣會國師)가 창건하여 견성사(見性寺)라고 하였다. 견성사(見性寺)는 선릉(宣陵)의 동편에 있었다. 연산군 4년(1498)에 선릉(宣陵)이 조영되면서 선릉(宣陵)의 원찰(願刹)..

한강 2022.09.20

한강종합개발기념비

잠실종합운동장 서쪽에 잠실과 삼성동을 구분되는 한강으로 유입하는 탄천(炭川)이 한강으로 유입되고 있다. 탄천(炭川)은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청덕동 법화산(法華山)에서 발원해 성남시 분당구, 수정구를 지나 서울특별시로 접어들면서 북서쪽으로 유로를 튼 후, 강남구 대치동에서 양재천(良才川)을 합쳐 한강으로 유입된다. 조선 경종 때 남이(南怡) 장군의 6대손인 탄수(炭叟) 남영(南永)이 이곳에 살았는데, 그의 호 탄수에서 탄골 또는 숯골이라는 지명이 유래되었다고 한다. 탄천은 탄골을 흐르는 하천이라는 뜻이다. 탄천에는 여러다리가 있다. 그 중 탄천교에서 탄천하류로 탄천1교, 탄천2교, 삼성교, 봉은교, 청담교가 있다. 여기 탄천은 폭우로 인해 쓸어진 나무가 있고, 고라니가 살고, 가마우치도 살고 있었다, 양재..

한강 2022.09.06

종묘 정전수리현장 공개관람

중지(中池)옆 망묘루(望廟樓)가 반영(反影)하고 있다. 궁능서비스기회과에서 수리현장 공개관람안내가 있었다. 종묘 정전 보수현장 문화재 연혁, 수리과정 설명이 있었다. 보수현장도 관람할 수 있었다. 현장에서 본 하월대(下月臺)의 박석(薄石)이 생각보다 두께가 얇다. 아직 보수중인 지붕골이다. 설명에 의하면 완벽한 수리을 위해 구조물의 해체 과정에서 처음에 드러나지 않은 예상 밖의 흠결이 있는 것은 그 원인을 찾아 다시 보충 보수계획이 있다고 한다. 정전보수정비공사가 2022년 12월에서 완성할 계획이었으나 아마도 2024년에 완성되는 것이 아닌가 한다. 오늘도 지킴이 선생님께서 해설이 있었다. 매월 마지막 수요일에 해설이 있으며 해설시간은 11:20, 12.20, 13,20, 14.20, 15,20에 시작..

종묘 2022.09.02

종묘 대문들

22년 8월 27일 (토) 악공청에 사람들이 쉬고 있다. 종묘정전 가림막이 거창하다. “어제를 담아 내일에 전합니다.” 종묘에는 삼문(三門)으로 된 대문(大門)은 다음과 같다. 외대문(外大門) 정전 신문(神門)과 동문(東門) 영녕전 신문(神門)과 동문(東門) 삼문을 정리하면 그림과 같다. 그림에 외대문(外大門)은 계단에 석고(石鼓)가 있고, 공포대의 주간(柱間) 구성에서 상하에 위치한 도리 방향의 긴 부재 사이를 받쳐주기 위하여 사용하는 부재(部材)인 화반(花盤)이 있다. 신문(神門)과 동문(東門)에는 석고(石鼓)가 아닌 목고(木鼓)가 기둥 아래쪽에 위치하고 있다. 외대문과 신문은 홍전문(紅箭門)이다. 외대문은 신(神)과 사람이 진입하지만 신문(神門)의 정문(正門)은 신(神)가 진입하고 동문(東門)은 사..

종묘 2022.09.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