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244

종묘에 귀한 손님(?)이 왔다.

23년 8월 26일 종묘 중지(中池)에 귀한 손님(?)이 왔다. 아직도 습한가 보다 오리들이 뭍으로 나와 있다. 관리소에서 하지(下池)을 깨끗이 하기 위해 청소를 한다. 청설모가 기둥위에 있다. 잡식성인 청설모는 딱딱한 나무도 먹는 다고 한다. 기둥 썩은 곳에서 나무부스러기를 찾고 있다. 영녕전 서문에서 정전 동문까지 율곡로를 따라가는 산책로가 있다. 종묘 는 산책하기도 좋은 곳이다. 싸리나무 꽃도 피웠다.

종묘 2023.08.29

태풍 카눈이 지나가고 있었다.

태풍 카눈이 지나가고 있었다. 종묘에는 가끔 보슬비가 내리지만 무사하다. 정전 동문 쪽에 반송(盤松)도 무사하다. 정전 보수정비공사는 무탈한 것 같다. 정전 가설구조물위에 까마귀들이 앉아 있다. 전날 바람에 작은 가지가 뿌려져 떨어졌다. 고목의 굵은 줄기는 이끼가 무성하고 기와 위에도 담벽에도 이끼가 무성하다. 관람객들은 잠시 쉬어가기도 하고 그냥 걷기도하며 지킴이 선생님의 해설을 듣기도 했다. 망묘루(望廟樓)가 더욱 짙게 반영하고 있다.

종묘 2023.08.14

폭염(暴炎) 속 보이스카우트들이 종묘를 방문

23년 7월 29일 장마가 끝나고 폭염(暴炎) 과 열대야(熱帶夜)가 시작되었다. 종묘 영녕전(永寧殿)과 종묘 정전 석루조(石漏槽) 모습이다. 종묘 중지(中池)가 한가롭다. 관람객들이 잠시 쉬고 있기고 하다. 일반관람객이 많치 않아 궁궐지킴이 선생님들은 스터디를 한다. 제25회 새만금 세계스카우트잼버리대회를 앞두고 보이스카우트들이 종묘를 방문하였다. 폴란드 스카우트, 영국 스카우트들도 보인다.

종묘 2023.07.31

벚나무 큰 가지가 싹둑 잘렸다.

23년 7월 15일(토) 장마철이다. 잠시 비가 멈추었다. 영녕전(永寧殿) 모습니다. 오리은 장마가 싫은 가 보다. 연못가에서 장마가 끝나기를 기다리고 있는 듯하다. 졸기도 한다. 종묘키킴이 선생님들은 관람객에게 해설을 하고 있다. 오늘은 외국인 관람객이 많았다. 각종 버섯이 여기저기서 보인다. 큰 나무는 뿌리를 뻗어 중심을 잡고 있다. 종묘대문 앞에 있는 벚나무 큰 가지가 싹둑 잘렸다. 잘리기 전에 가지가 풍성했는데. 현재의 정전 신문 앞이다. 정전은 보수중이다. 종묘배치도(광복 전후)를 보면 신문 앞에 신로(분홍색 원)가 있다. 정전 앞 신문(神門)에 신로(神路)를 복원한다면 아래 그림과 같을 것이다. 문화유산 관리, 보수, 복원은 지속적으로 하고 있다.

종묘 2023.07.18

행주산성에서 가양대교까지

행주산성에서 한강변을 거슬러 올라가면 고양대덕생태공원, 용치공원, 난지수리소, 난지국궁장이 있다. 고양대덕생태공원은 행주수귀관측소가 보이는 장릉천에서 시작한다. 행주대교수위관측소는 1916년 조선총독부는 창릉천(昌陵川)과 한강이 합류한 곳에 고양 행주수위관측소를 설치한 후 창릉천과 한강의 조위(潮位)를 측정하고 기록하기 시작하였다. 일제 강점기 이후 내무부, 건설부, 국토교통부 한강홍수통제소 등의 관리기관을 거쳐 운영되어 왔으며, 1979년 관측을 종료한 후 1980년 관측소를 폐쇠하였다. 건립 당시의 토목기술과 수위측정 방식 등을 확인해 볼 수 있는 점, 등대와 비슷한 모습의 건축물이 현존하고 있는 점 등에서 그 역사성이 매우 높다고 할 수 있다. 행주산성에서 창릉천(昌陵川) 청룡교를 지나야 본격적으로..

한강 2023.07.14

행주(幸州)-2

행주내동는 덕양산(德陽山, 해발 124.9m)이 있는 곳이다. 덕양산 정상에서 동쪽으로 여의도, 관안산, 남산이 보이며, 서쪽으로는 행주대교, 김포대교를, 남쪽으로는 개화산(開花山), 궁산(宮山), 화양대교가, 북쪽으로 북한산(北漢山)을 조망할 수 있다. 동서남북으로 조망할 수 있어 덕양산(德陽山)는 군사요충지이다. 행주산성(幸州山城)은 덕양산(德陽山) 정상을 중심으로 능선을 따라 흙으로 쌓은 토성(土城)이다. 전체 둘레는 약 1km이며 현재는 약 415m 정도로 복원되었다. 산선의 남쪽은 한강, 동남쪽으로 창릉천(昌陵川)이 산성을 돌아 한강으로 유입되고, 동남쪽과 남족 일대는 급 경사지로 자연적인 요새지(要塞地)의 지형을 갖추고 있다. 산성은 정상부를 에워싼 소규모의 내성(內城)과 북쪽으로 전개된 작은..

한강 2023.07.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