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년 5월 7일 종묘대제(宗廟大祭)가 봉행(奉行)했다.
이 중 어가행례(御駕行禮)이 있었다. 외대문에서 신로(神路)가 시작되는 곳과 ![]() ![]() 어가(御駕)가 박석(駁石)의 정로(正路)인 신로(神路)로 가고 있다. 박석(駁石)의 위차(位次)에서 정로(正路)는 신주(神主)가 가는 길, 우측 협로(夾路)는 왕(王)이 , 좌측 협로(夾路)는 세자(世子)가 가는 길이다. 2013년 묘현례(廟見禮) 봉행할 때도 왕비(王妃)가 신로(神路)로 행차하고 ![]() ![]() ![]() 신로(神路)는 현재 일반인이 걸어가지 못하도록 통제를 하고 있는데 왕비와 세자빈이라고 신로를 갈 수 있는냐는 논란이 일어나 13년 이후로는 묘현례(廟見禮)을 할 경우에 정로로 행차하는 행례(行禮)하지 않았다. 위의 어가(御駕)가 어로(御路)을 갈 수 없는 이유는 박석(駁石)의 정로(正路)와 협로(夾路)가 턱이 있고 정로와 협로의 높이가 달리하기 때문이다. 1958년 공보처 공보국 자료를 보면 정로(正路)와 좌우의 협로(夾路)가 2로(路)로 총 5로(路)이다. ![]() 2007년 보수하기 위한 작업된 박석(駁石)이다. ![]() 그림으로 보면 보수 전의 턱이 없는박석(駁石)과 ![]() ![]() 종묘대제(宗廟大祭)을 봉행하기 위해 박석(薄石)을 다시 보수하거나, 묘현례(廟見禮) 때처럼 박석(駁石)으로 어가(御駕) 행차(行次)을 하지 않아야 할 것으로 본다. 또 종묘대제(宗廟大祭)를 단순히 이벤트 사업으로 본다면 굳이 신로, 어로, 세자로을 의식하지 않아도 된다. 이도형 지킴이 선생님의 사진을 참조했다. |
'종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종묘제례악(宗廟祭禮樂)을 공연 (0) | 2023.05.23 |
---|---|
공민왕(恭愍王神堂) 신당(神堂)은 수복(守僕)이 치성(致誠)드리는 곳이었다. (0) | 2023.05.12 |
종묘대제을 봉행 준비 (0) | 2023.05.09 |
2023년 4, 5월 종묘 각종 행사 (0) | 2023.04.24 |
종묘라는 나무위에 삶이 무성해 진다 (0) | 2023.04.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