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월 5일(일) 영녕전에서 종묘대제 준비
24년 5월 4일
종묘 숲은 푸르다.


하지(下池)을 소재하고 있다.

중지(中池)가 맑다

5월 5일(일) 영녕전에서 종묘대제가 있다.
영녕전 신문(神門)에 다음과 같은 행사가 있다고 한다.

종묘 영녕전에서 24년 4월 27일(토)~ 5월3일(금) 종묘 묘현례과
종묘 영녕전에서 24년 4월 27일(토)~ 5월1일(수) 창작 공연극
종묘 정전.영녕전.악공청에서 24년 4월 27일(토)~ 5월3일(금) 체험프로그램 이다
영녕전에서 종묘대제 준비를 하고

신주(神廚)에서도 종묘대제에서도 준비하고 있다

대형 스크린도 설치하였다.

체험프로그램 중에 종묘제례악기 체험관에 있는 편종(編鐘)과 편경(編磬)이다.
속부악현도설(俗部樂懸圖說)에
등가(登歌)와

헌가(軒架)가 있다.

- 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 서례(序例) 권지일(卷之一) 길례(吉禮) 속부악현도설(俗部樂懸圖說) 五十四 참조
악기 중 적색 원은 편경(編磬)이고 청색 원은 편종(編鐘)이다.
편경과



편종의 세부 사항이다.



편종과 편경 뒷쪽에 음계(音階)가 표시되어 있다.
종묘제례악에서 사용하는 음계는 12율명(律名)으로 황종(黃鍾)·대려(大呂)·태주(太簇)·협종(夾鍾)·고선(姑洗)·중려(仲呂)·유빈(蕤賓)·임종(林鍾)·이칙(夷則)·남려(南呂)·무역(無射)·응종(應鍾)이며 앞글자를 선택하여 황(黃)대(大)태(太)협(夾)고(姑)중(仲)유(蕤)임(林)이(夷)남(南)무(無)응(應)로 표기한다.
체험장에 있는 편종(編鐘)에 이(夷)남(南)무(無)로 표기되고 있다.

편경(編磬)에 협(夾)고(姑)중(仲)유(蕤)임(林)가 표기되고 있다.

종묘제례를 통하여 편경과 편종을 기록해 본다.